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호스로프 2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아르샤쿠니 왕가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보노네스 1세아르사케스 1세오로데스티리다테스 1세
아르샤쿠니 왕가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사나투르케스악시다레스파르타마시리스볼로가세스 1세
아르샤쿠니 왕가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파코로스볼로가세스 2세호스로프 1세티리다테스 2세
아르샤쿠니 왕가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호스로프 2세티리다테스 3세호스로프 3세티그라네스 7세
아르샤쿠니 왕가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아르사케스 2세파파스바라다테스아르사케스 3세
볼로가세스 3세
아르샤쿠니 왕가
제21대제22대제23대-
호스로프 4세브람샤푸흐아르탁세스 4세-




아르샤쿠니 13대 샤
Խոսրով | 호스로프 2세
제호한국어호스로프 2세
아르메니아어Խոսրով
영어Khosrov II
존호
생몰 년도미상 ~ 258년
재위 기간252년 ~ 258년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아르메니아 아르샤쿠니 왕조의 13대 .


2. 생애[편집]


사산 왕조 초대 샤한샤 아르다시르 1세의 침략으로부터 아르메니아를 지켜낸 티리다테스 2세의 아들로, 252년 부친이 사망한 후 왕위에 올랐다. 그에게는 아들 티리다테스 3세와 딸 호스라비 데크트(Khosravi Dekht)가 있었다.

258년, 샤푸르 1세는 아르메니아를 공략할 야심을 품었다. 하지만 아르메니아의 방비가 워낙 굳건하고 발레리아누스 황제가 이끄는 로마 제국의 견제도 심한 상황에서 무력으로는 공략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이에 호스로프 2세의 친척인 아낙에게 "왕을 시해하면 그의 지위와 재산을 그대가 갖는 걸 용인하겠다"라고 약속했다. 아낙은 이를 받아들여 바그하르샤파트에서 호스로프 2세와 그의 아내를 살해했다.

아르메니아 귀족들은 이에 분노하여 아낙과 일가족을 몰살시켰다. 아낙의 어린 아들 그레고리만이 보모 소피아와 예브타그의 도움으로 간신히 탈출하여 카파도키아의 카이세리아로 피신했다. 그 후 그는 기독교 신자가 되었고, 훗날 아르메니아가 기독교를 국교로 삼는데 크게 기여해 아르메니아 정교회의 수호성인이 되었다.

샤푸르 1세는 호스로프 2세의 암살로 혼란에 빠진 아르메니아를 전격 침공해 별다른 저항 없이 공략하고 아들 호르미즈드 1세를 아르메니아 왕위에 앉혔다. 티리다테스 3세는 추종자들과 함께 로마로 망명했다. 283년 카루스 황제가 사산 왕조를 침공하여 크테시폰을 함락하고 메소포타미아를 파괴하는 등 심대한 타격을 입힌 뒤, 284년 바흐람 2세디오클레티아누스가 평화 협정을 체결하면서 서아르메니아는 티리다테스 3세가 통치하고 동아르메니아는 나르세스 1세가 다스렸다.

이후 나르세스 1세가 아르메니아 전체를 공략하고 샤푸르 1세의 영광을 재현하기 위해 296년 로마 제국을 상대로 전쟁을 일으켰지만, 298년 갈레리우스에게 참패한 뒤 아르메니아를 포기해야 했다. 이리하여 아르샤쿠니 왕조는 40년 만에 티리다테스 3세의 지도하에 아르메니아 전체를 다스리는 왕조로 복귀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8:20:11에 나무위키 호스로프 2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